주로 여기는 최근 기출에 나온 부분만 작성하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만 작성할 예정이다.
앞의 내용은 운영체제 과목을 들을 때 다들 들은 것들이라 기억이 잘 나지 않는 부분만 작성하겠다.
Disk 접근 시간 |
세부 내용 |
탐색 시간 (Seek Time) |
현 위치에서 특정 실린더로 디스크 헤드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|
회전 지연시간 (Rotation Delay Time) |
가고자 하는 섹터가 디스크 헤드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|
전송 시간 (Transfer Time) |
데이터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|
(3) Disk Scheduling 3회 보안기사
▶ FCFS(First-Come First Served)
▶ SSTF(Shortest-Seek Time First)
-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
- 현재 Head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우선적으로 처리
- 장점 : 전반적인 Seek time감소
- 단점 : Starvation 현상 발생 가능
▶ SCAN(엘리베이터 알고리즘)
- SSTF가 갖는 탐색 시간의 편차를 해소하기 위한 기법
- Head가 이동하는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고, 끝까지 이동한 후 역방향의 서비스 Head항상 끝까지 이동
(2) RAID 0(Stripe, Concatenate)
- 최소 2개의 디스크로 구성
- 작은 디스크를 모아 하나의 큰 디스크로 만드는 기술, 장애 대응이나 복구 기능은 별도로 구성
- Disk Striping 은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지만 중복 저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디스크 장애 발생 시 복구할 수 없음
(3) RAID 1(Mirroring)
- 여러 디스크에 데이터를 완전 이중화 하여 저장하는 방식, 가장 좋은 방식이지만 비쌈
- 디스크 장애시에 복구 가능, R/W가 병렬적으로 실행되어 속도가 빠름
(4) RAID 2 (Hamming Code ECC)
- ECC(Error Correction Code) 기능이 없는 디스크의 오류 복구를 위해 개발됨
- Hamming Code를 이용해 데이터 복구
- RAID 2는 별도의 디스크에 복구를 위한 ECC저장
(5 RAID 3 (Parity ECC)
- Parity 정보를 별도 Disk에 저장(Byte 단위 I/O)
- 1개 디스크 장애 시 Parity를 통해 복구 가능
- RAID 0으로 구성된 데이터 디스크의 입출력 성능은 향상되나, Parity 계산 및 별도 디스크 저장으로 Write 성능 저하
(6) RAID 4 (Parity ECC, Block 단위 I/O)
- Parity 정보를 별도 Disk에 저장
- 데이터는 Block 단위로 데이터 디스크에 분산 저장
- 1개 디스크 장애 시 Parity를 통해 복구 가능
- RAID 0 으로 구성된 데이터 디스크의 입출력 성능은 향상되나 , Parity 계산 및 별도 디스크 저장으로 Write 성능 저하
- 1개 디스크 오류에도 장애 복구 가능. Hot Spare Disk를 이용해 데이터 복구
- RAID 4는 RAID 3와 동일하나 Parity를 Block 단위로 관리하는 것만 차이남
(7) RAID 5(Parity ECC, Parity 분산 저장) 7회, 10회, 13회 보안기사
- 분산 Parity를 구현해 안정성 향상
- 최소 3개 디스크 요구, 일반적으로는 4개
(8) RAID 6(Parity ECC, Parity 분산 복수 저장)
- 분산 Parity가 적용된 RAID 5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Parity를 다중화 해 저장
- 대용량 시스템에서 장애 디스크가 복구되기 전에 추가적인 장애가 발생되면 복구가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
- 장애가 발생된 상황에서 추가적인 디스크 장애가 발생해도 정상 동작
RAID이미지 출처 : https://jwprogramming.tistory.com/24
제 13회 정보보안기사 Part1. 시스템 보안 오답 (0) | 2020.01.18 |
---|---|
제 14회 정보보안기사 Part1. 시스템 보안 오답 (0) | 2020.01.18 |
보안 기사 기출 오답 (0) | 2020.01.17 |
보안기사 기출 오답 (0) | 2020.01.17 |
정보보안기사 Start (0) | 2020.01.04 |
댓글 영역